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주요 한국 기업들 (*최신 +규모순 정리)

by po0wer 2025. 9. 17.
지금 미국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

지금 미국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

2025년 현재,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은 미국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운영하거나 신설하여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태양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현지 생산은 미국 내 규제 대응과 공급망 안정화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 표는 규모 순으로 정리한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 공장 현황입니다.

📊 미국 내 한국 기업 생산 공장 (2025년 기준)

기업명 주요 공장 위치 생산 품목 규모 / 특징
삼성전자 텍사스 오스틴 / 테일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오스틴 공장稼동(1996~), 테일러에 170억 달러 신규 투자 진행 중 (공식 뉴스룸)
현대자동차 그룹 앨라배마 / 조지아 자동차, 전기차 앨라배마(2005~) 완성차 공장, 조지아(2025 가동 예정)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 공식)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 오하이오 배터리 셀 GM과 합작(Ultium Cells) 공장 운영, 전기차 배터리 생산 확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조지아 배터리 셀 포드·현대차와 협력, 대규모 배터리 공장 운영 (SK 공식)
한화큐셀 조지아 태양광 모듈 조지아 달턴 공장稼동, 미국 내 최대 태양광 모듈 생산 (한화큐셀)

1. 삼성전자 – 미국 반도체 생산의 중심

삼성전자는 1996년부터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반도체 공장을 운영해왔습니다. 오스틴 공장은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1년 발표한 170억 달러 규모의 테일러 신규 반도체 공장도 현재 건설 중입니다. 이는 미국 내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2. 현대자동차 그룹 – 전기차 생산 강화

현대자동차는 앨라배마 몽고메리에 완성차 공장을 운영하며, 북미 시장을 겨냥한 내연기관차와 SUV를 생산해왔습니다. 더불어 2022년 발표한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은 2025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입니다. 이는 미국 내 전기차 시장 확대와 바이 아메리칸 정책 대응 차원에서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가집니다.

3. LG에너지솔루션 – GM과 합작 배터리 공장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주에 단독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며,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한 Ultium Cells 공장을 오하이오 등지에서 가동 중입니다. 전기차 수요 급증에 따라 2025년까지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 전기차 산업의 필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4. SK온 – 포드, 현대차와 협력

SK온은 조지아주에 대규모 배터리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포드와의 합작을 통해 켄터키·테네시에도 추가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또한 현대차 그룹과의 협력도 강화해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5. 한화큐셀 – 미국 최대 태양광 모듈 생산

한화큐셀은 조지아주 달턴에 태양광 모듈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미국의 태양광 산업 확대 정책에 힘입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지원을 활용해 미국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리

2025년 현재 미국은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생산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반도체(삼성), 자동차(현대차), 배터리(LG·SK), 태양광(한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양국 간 경제 협력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안정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본 글은 2025년 9월 기준 각 기업 공식 발표 및 주요 언론 보도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